본문 바로가기
Front End

한글코딩 활용하기 (feat. MOCK)

by 코딩파이 2024. 10. 1.
똑똑한개발자 내부 코드리뷰의 외부 공개용 재정리 파일입니다. @23.08.18

 

 

개발을 시작할 때 부터 한글 코딩에 관심이 있었으나, 개발 문화의 생태계에서 꺼리는 환경 때문에 잘 사용하지 못했었습니다.

그러나 이전에 토스에서 공개한 세종대왕 프로젝트에 힘입어

서버 개발이 클라이언트 개발보다 한참 늦게 진행되어야 했던 이번 프로젝트를 기점으로 적극적으로 아래와 같은 한글 코딩을 적용했습니다.

 

여러 실험 결과 가장 적절한 사용법은 퍼블리싱시 더미 데이터(MOCK) 구성 단계에서는 한글 코딩의  활용이었습니다.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const MOCK = {
  유저: {
    사번: 'k00123',
    부서: '개발팀',
    소속팀: 'FE',
    성명: '홍길동',
  },
 }
 
interface UserItemProps {
	사번: string;
	부서: string;
	소속팀: string;
	성명: string;
}

 

 

더미 데이터 단계에서 한글코딩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습니다.

 

  1. 명시적으로 수정해야 할 코드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대부분의 개발자가 한글 코드는 나쁜 코드로 인식하기 때문에, 추후 API 연결 단계에서 수정해야할 코드를 찾기 쉽다.
  2. 서버와 다른 영어를 쓸 가능성이 낮아진다. 예를들어 배송상태 라는 값을 서버로 전달 받을 때, FE 코드에서는 DeliveryStatus 로 작성했지만 서버에서는 ShippingStatus 로 전달받아 코드 작성간 햇갈렸던 부분이 있다.
    때문에 명확하게 한글로 작성 후, 서버에서 전달받는 데이터 키값에 맞게 수정하면 간편하다.

 

해당 내용을 팀원분들께 공유드리니 대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